반응형 프라이밍실패2 펌프는 공회전인데 전류는 왜 올라갈까? 펌프에 유체가 없을 때, 공회전 상태에서 전동기가 과전류를 소비하는 이유는 생각보다 복잡하지만 현실적인 문제입니다. 겉보기엔 부하가 없는 것 같지만, 실제로는 시스템 내부에서 속도가 높아지고 마찰 손실이 증가하면서 전류가 더 많이 흐르게 됩니다.사례 1: 45kW 모터가 공회전 후 정지한 사고한국의 한 냉각설비 공장에서 펌프 정비 후 재가동했는데, 흡입 밸브가 닫힌 상태였습니다. 유체 없이 공회전한 펌프는 15초 만에 열 보호 차단이 작동되며 멈췄습니다.조사 결과, 부하는 없었지만 회전수가 상승하며 마찰 손실과 진동이 급증했고, 정격의 125% 전류가 유입되어 모터가 스스로 보호 작동한 것이었습니다.공회전 시 과전류가 흐르는 이유 유압 부하 없음 → 회전속도 상승 속도 상승 → 내부 손실 토크 증가 .. 2025. 8. 16. 유도전동기 유량이 줄고 압력이 흔들린다면? 공기 혼입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펌프가 잘 돌아가고 있는 것 같지만, 실제로는 유량이 떨어지고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 조용한 성능 저하는 대부분 펌프 시스템 내부에 갇힌 공기 때문에 발생합니다.사례 1: 음료 공장의 생산 지연한 음료 제조업체는 성수기를 앞두고 포장 라인의 펌프가 기대만큼 유량을 내지 못하는 문제에 직면했습니다. 조사 결과, 흡입라인의 플렉서블 조인트에서 소량의 공기 유입이 있었고, 이로 인해 유량이 15% 감소하며 병입 공정이 중단되고 생산 인력이 초과 근무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.사례 2: 병원 난방 시스템의 유량 불균형중서부의 한 병원에서는 겨울철에 일부 병실이 지나치게 차가워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. 난방 루프에 설치된 유도전동기 펌프가 상층부로 물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했던 것이 문제였습.. 2025. 8. 16. 이전 1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