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과전류2 펌프는 공회전인데 전류는 왜 올라갈까? 펌프에 유체가 없을 때, 공회전 상태에서 전동기가 과전류를 소비하는 이유는 생각보다 복잡하지만 현실적인 문제입니다. 겉보기엔 부하가 없는 것 같지만, 실제로는 시스템 내부에서 속도가 높아지고 마찰 손실이 증가하면서 전류가 더 많이 흐르게 됩니다.사례 1: 45kW 모터가 공회전 후 정지한 사고한국의 한 냉각설비 공장에서 펌프 정비 후 재가동했는데, 흡입 밸브가 닫힌 상태였습니다. 유체 없이 공회전한 펌프는 15초 만에 열 보호 차단이 작동되며 멈췄습니다.조사 결과, 부하는 없었지만 회전수가 상승하며 마찰 손실과 진동이 급증했고, 정격의 125% 전류가 유입되어 모터가 스스로 보호 작동한 것이었습니다.공회전 시 과전류가 흐르는 이유 유압 부하 없음 → 회전속도 상승 속도 상승 → 내부 손실 토크 증가 .. 2025. 8. 16. 순간전압강하 발생 시 모터류 문제 전기적 원리 순간전압강하 발생 시 모터류 문제 전기적 원리모터는 전력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기 기기이며, 순간전압강하가 발생할 경우 모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전압 강하는 모터의 성능 저하, 고장, 과열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, 이를 전기적 원리로 순서대로 설명하겠습니다.1. 전압 강하 시작 (Voltage Sag Initiates)순간전압강하가 발생하면 전압이 갑자기 낮아집니다. 이는 변압기나 배전망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, 전력망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모터는 전압의 변동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전압 강하가 시작되면 즉시 영향을 받기 시작합니다.전기적 원리: 모터는 일정한 전압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. 전압이 감소하면 모터의 전력 공급이 불안정해지며.. 2025. 8. 6. 이전 1 다음 반응형